건강 경제 금융 자동차 뉴스 전문 블로그

카테고리 없음

청해부대 코로나 문무대왕함 34진 장병 복귀 성남 서울공항 도착

리베로수 2021. 7. 20. 22:07
반응형

청해부대 코로나 문무대왕함 34진 장병 복귀 성남 서울공항 도착 20일 오후 서울공항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귀국한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4400t급)의 장병들이 공군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KC-330)에서 내리고 있다.  20일 오후 서울공항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귀국한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4400t급)의 장병들이 공군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KC-330)에서 내리고 있다.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조기 귀국길에 오른 청해부대 34진 부대원들이 20일 오후 한국에 도착했다. 지난 15일 첫 확진자(집계일 기준) 6명이 발생한 이래 닷새 만이다.

국방부는 청해부대 34진 장병들을 태운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KC-330) 1호기가 이날 오후 5시 30분께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1호기에는 아프리카 현지 병원에 입원했던 16명을 포함해 확진자 160명이 탑승했고, 경증 및 무증상 확진자 87명과 미 확진자 54명(판정 불가 4명 포함) 등 나머지 141명도 수송기 2호기 편으로 곧 도착한다.


군통수권자 대통령도 나름 대응했지만 국민 눈엔 안이한 대처
文대통령 청해부대 코로나 감염 비판 수용 서욱 국민께 사과
청해부대 백신 접종 노력 부족 장관 취임 후 6번째 고개 숙여

서욱 국방부 장관(가운데)이 20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청해부대의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서욱 국방부 장관이 20일 청해부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집단 발병 사태와 관련해 국민 앞에 사과했다. 앞서 국군 통수권자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이번 사태에 따른 국민의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라고 밝혔다.

서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발표한 사과문을 통해 "멀리 해외 바다에서 국가·국민을 위해 헌신해온 청해부대 장병들을 보다 세심히 챙기지 못했다"면서 "장관으로 무거운 책임을 통감하며, 부대 장병 및 가족 여러분과 국민 여러분께 깊은 사과 말씀을 드린다"라고 밝혔다.

청해부대는 아프리가 소말리아 인근 아덴만과 중동 오만만 등지에서 우리 선박 운항을 보호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해외파병부대다.


 


이 부대 제 34진 장병 301명은 지난 2월 초 해군 구축함 '문무대왕함'을 타고 아덴만으로 떠났으며, 내달 임무수행을 마치고 복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달 초 작전지역 인접 국가를 기항한 '문무대왕함' 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와 의심증상자가 잇달아 보고되면서 정부와 군 당국은 부대원 전원의 조기 복귀를 결정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청와대 제공) 2021.7.20/뉴스 1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19일 오전 8시 기준으로 청해부대 34진 장병 가운데 코로나19 확진자는 247명으로 전체의 82%에 이른다.

작전지역 인접국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진단검사(PCR) 결과 나머지 부대원 중 50명은 '음성' 반응을 보였지만, 밀접·밀집·밀폐 등 이른바 '3 밀' 환경을 다 갖춰 감염병 대응에 취약한 군함 특성상 "부대원 모두가 바이러스에 노출됐다고 봐도 무방하다"는 게 관련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견해다.

게다가 청해부대 34진 장병들은 파병 후 지난 5개월 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지 못한 채 임무를 수행해왔다는 점에서 이번 집단감염 사태는 '예고된 인재(人災)'였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서 장관도 이날 사과문에서 "청해부대 장병들에 대한 백신 접종 노력에 부족함이 있었다"라고 인정하면서 "부대 장병과 가족, 국민 여러분께 큰 심려를 끼쳐드려 송구하다"라고 거듭 밝혔다.

군 당국은 전날부터 공군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 KC-330 '시그너스' 2대를 이용해 코로나19 확진 여부에 관계없이 청해부대원 전원을 국내로 이송하는 '작전'을 벌이고 있다. 장병들은 이날 오후 경기도 성남 소재 서울공항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 장관은 부대원들의 "안전 복귀"를 강조하며 "국방부는 부대원이 도착하는 대로 사전에 지정된 병원과 생활치료센터에서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가 집단발병한 청해부대 34진을 국내로 이송하기 위해 출국한 특수임무단이 19일 아프리카 해역에서 부대원들이 탔던 해군 구축함 '문무대왕함'에 승선해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2021.7.19/뉴스 1
서 장관은 "해외파병부대 방역대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파병 장병을 포함한 모든 장병이 더 안전하고 건강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반 대책을 철저히 보완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서 장관이 군 관련 현안을 이유로 대국민사과에 나선 건 작년 9월 취임 이후 이번이 6번째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앞서 주재한 국무회의를 통해 "(청해부대원들에 대해) 우리 군이 나름대로 대응했지만 국민 눈엔 부족하고 안이하게 대처했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다"며 "며 "이런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면서 (부대원) 치료 등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다른 해외파병 군부대까지 다시 한번 살펴주기 바란다"라고 서 장관에게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장병의 안전이 곧 국가안보란 생각으로 코로나19 방역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김부겸 국무총리 또한 이날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에 대해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우리 장병들 건강을 세심히 챙기지 못해 대단히 송구하다"며 "국방부는 임무수행 중 복귀하는 장병들의 치료·회복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갑작스러운 교대로 인해 임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후속조치를 철저히 해주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귀국하는 청해부대 장병들은 도착 뒤 PCR를 다시 실시한 뒤 증상 정도 등에 따라 치료 및 격리시설로 각각 분산 수용될 예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