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경제 금융 자동차 뉴스 전문 블로그

지식/건강

비브리오 폐혈증 증상 예방법 치료 비브리오균 비브리오 식중독

리베로수 2021. 6. 19. 17:42
반응형

비브리오 패혈증 증상 예방법 치료 비브리오균 비브리오 식중독
간장게장 먹고 발열 증상에 병원 갔더니 의사들 경고

세균의 계절 여름 주의해야 할 감염병
만성 간질환·당뇨환자, 비브리오 패혈증 걸리면 치사율 30~50%

덜 익힌 어패류 섭취 때 감염
85도 이상에서 충분히 익혀야
치명적인 비브리오 패혈증
상처 부위 바닷물과 접촉하거나

여름은 ‘세균의 계절’이다. 뜨거운 햇빛과 높은 습도는 각종 세균을 키우는 자양분 역할을 한다. 또 무더운 날씨는 세균의 공격 대상인 사람의 면역체계를 무너뜨린다. 공격수는 강해지고, 수비수는 약해지니 결과는 뻔하다. 식중독, 장염 등 감염병 환자가 여름철에 급증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들 감염병은 ‘잠깐 앓고 지나가는 병’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중증 질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만성 간 질환,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 걸리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여름철에 주의해야 할 감염병은 무엇인지, 어떻게 치료하고, 예방해야 하는지 알아봤다.

피부에 붉은 반점 생기면 ‘패혈증’ 의심
질병관리청은 지난 14일 올해 첫 비브리오 패혈증 확진 환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라는 세균에 의해 감염되는 염증이다.

바다에 사는 이 세균은 소금 농도가 1~3% 일 때 가장 잘 번식한다. 덜 익힌 어패류를 먹거나 상처 부위에 바닷물이 닿으면 감염될 수 있다. 이 환자 역시 7일 간장게장을 먹은 뒤 발열, 전신 피로감, 피부 병변 등이 일어났다.


만성 간 질환자, 당뇨 환자, 알코올 중독자, 부신피질 호르몬제나 항암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 등은 비브리오 패혈증에 더 취약하다.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 걸리면 치사율이 30~50%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비브리오 패혈증 확진자 70명 중 25명이 사망했다. 이 병에 걸리면 발열·오한·구토·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발열 후에는 피부에 붉은 반점이 생기거나 물집이 잡힌다. 심하면 피부가 괴사 하기도 한다. 다리에 부종이 생기거나 멍처럼 검보랏빛 얼룩점이 생기는 것도 비브리오 패혈증의 증상이다.

임태원 대동병원 소화기내시경센터 과장은 “설사가 1~2일이 지나도 멈추지 않거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장 속 세균이나 독소를 배출하지 못해 합병증이 나타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비브리오 패혈증에 걸리면 괴사 한 피부 조직을 제거하거나 근막 절개술(염증이 생긴 부분의 근막을 절개해 부종을 가라앉히는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세팔로스포린, 플루오로퀴놀론,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람 간 전파되는 질병은 아니기 때문에 환자 및 접촉자를 따로 격리할 필요는 없다.

예방법은 간단하다. 조개 등 어패류 및 해산물을 섭씨 85도 이상 온도로 가열 처리해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 껍데기가 열린 뒤 5분 더 끓이는 식이다. 영상 5도 이하 저온 보관은 필수다. 피부에 상처가 생겼다면 가급적 바닷물에 닿지 않도록 한다. 닿았다면 깨끗한 물과 비누로 즉시 노출된 부위를 씻어야 한다.

백신 맞으면 A형 간염 95% 예방
A형 간염도 여름철에 자주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로 오염된 물과 식품을 통해 전파된다. A형 간염은 위생 수준이 낮은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발병해 ‘후진국 병’으로 불리지만,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많은 환자가 나오고 있다.

전체 환자의 70~80%는 20~40대다. 대한민국이 ‘깨끗’해진 1970~1990년대에 어린 시절을 보낸 까닭에 A형 간염의 면역이 형성되지 않은 게 원인으로 꼽힌다. 위생 수준이 떨어졌던 이전 세대는 대부분 어린 시절 A형 간염에 대한 항체가 형성됐다는 게 질병청의 설명이다. 6세 미만 어린이는 A형 간염에 걸려도 대부분 무증상 및 경증으로 지나간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평균 28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두통, 피로감 등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눈의 흰자가 노랗게 변하거나 암갈색 소변이 나오고, 오른쪽 복부에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심하면 ‘전격성 간염’(심한 간 손상으로 인해 간성뇌증으로 진행되는 질환)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A형 간염은 전염성이 높지만 치사율은 낮은 편이다. A형 간염의 사망률은 0.1~0.3%다. 50세 이상 치사율도 1.8% 정도다. 대부분 3개월 안에 자연스럽게 회복된다. 그러다 보니 정식 치료제도 나오지 않았다. 고단백질 위주로 먹고 간에 ‘휴식’을 주는 것만으로도 대부분 쉽게 회복된다.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되거나 구토로 탈수 증상이 나타나면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백신을 맞으면 A형 간염을 95% 이상 예방할 수 있다. 접종 대상은 12~23개월 영아와 A형 간염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모든 성인이다. 최근 2주 안에 A형 간염 환자와 접촉한 적이 있다면 예방접종을 하는 게 좋다. 6~12개월 간격으로 총 두 번 맞으면 된다. 질병청 관계자는 “20~30대는 항체검사 없이 예방백신을 맞고, 40대 이상은 항체검사 결과 항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접종한다”라고 말했다.

A형 간염은 평소 위생수칙만 잘 지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요리 전, 식사 전, 용변 후에는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한다. 과일은 껍질을 벗겨 먹는 게 좋다.

수족구 방치하면 뇌수막염 될 수도

5세 미만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라면 수족구를 ‘여름철 블랙리스트’에 올려야 한다. 수족구는 말 그대로 손과 발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콕사키 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 바이러스로 인해 발병한다. 침, 가래, 콧물, 진물 등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만큼 환자가 만졌던 물건에 닿으면 걸릴 수 있다.

2019년 기준 전체 수족구 환자 중 80%가 5세 미만이었다. 걸리면 열이 나고, 1~2일 후엔 입 안의 볼 안쪽, 잇몸, 혀 등에 붉은 반점이 생긴다. 반점이 수포 및 궤양으로 변하기도 한다.

수족구는 보통 7~10일 이내에 저절로 회복된다.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타이레놀, 부루펜 등 해열제로 열을 낮추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게 좋다. 드물게 뇌수막염, 뇌실 조증, 뇌염 등 중추 신경계 합병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근염, 신경성 폐부종 등도 수족구 합병증으로 꼽힌다. 아직 면역체계가 갖춰지지 않은 영아가 수족구에 걸리면 뇌수막염, 신경성 폐부종, 폐출혈, 쇼크 등 합병증의 가능성이 커진다.

수족구는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키는 게 최선의 방법이다. 아직 예방백신이 없기 때문이다. 아이가 열이 많이 나고 구토를 한다면 최대한 빨리 병원에 가야 한다. 수족구로 확진되면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학원 등에 보내지 않는 게 좋다. 아이가 만졌던 장난감과 물건 표면은 비누와 물로 세척하고, 소독제로 닦아야 한다.


비브리오 패혈증
vibrio vulnificus sepsis

요약 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감염에 의한 패혈증을 의미함

진료과
감염내과

관련 신체기관
전신

비브리오 패혈증 정의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패혈증을 뜻합니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패혈증은 간경화와 같은 간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 혈색소 침착증 환자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발열, 복통과 함께 균혈증이 생기고 주로 양하지에 큰 물집이 잡혔다가 점차 괴사조직으로 변해가는 경과를 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간질환 환자에서 비브리오 패혈증이 매년 20~40명 정도 발생하며 치사율이 30% 이상으로 매우 위험한 질병입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증상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는 연조직 감염과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연조직 감염은 해안에서 조개껍질이나 생선 지느러미에 긁혀서 생긴 상처를 통해 바닷물에 있던 균이 침입하여 발생하며 상처 부위 부종과 홍반(붉은 반점), 물집, 조직 괴사로 나타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균에 오염된 해산물을 익히지 않고 날것으로 먹었을 경우 발생합니다. 16시간 ~ 24시간의 잠복기 후에 급작스런 발열, 오한, 전신 쇠약감 등이 나타나고 구토와 설사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증상이 생기고 나서 30여 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환자에서 피부에 병적인 변화가 나타나는데 사지, 특히 하지에 부종, 발적, 반상 출혈(피부에 검보랏빛 얼룩점이 생기는 피하출혈, 멍), 수포, 궤양, 괴사(세포나 조직의 일부가 죽는 것) 등이 나타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원인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키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는 바다에 살고 있는 세균으로, 소금(NaCl)의 농도가 1~3%인 배지에서 잘 번식합니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는 바닷물의 온도가 18~20°C 이상으로 상승할 때 증식하기 때문에 비브리오 패혈증은 대부분 여름철에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합니다. 만성 간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 면역기능이 떨어진 사람들이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에 오염된 굴과 같은 어패류를 익히지 않고 날것으로 먹었을 때 감염됩니다. 드물게 상처가 바닷물에 오염되어 비브리오 패혈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진단/검사
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여름철에 익히지 않은 해산물을 먹고 발열, 하지의 수포, 괴사로 방문하면 비브리오 패혈증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환자의 혈액 혹은 연조직 병변, 수포, 괴사 조직 검체에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를 배양하면 확정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경과/합병증
치사율이 30%~ 50% 정도로 높습니다. 특히 쇼크에 빠지는 경우 회복이 매우 힘들며 상당수의 환자들이 발병 후 48시간 이내에 사망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치료
3세대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등의 항생제를 단독 혹은 병합 투여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에서 흔히 조직 괴사가 동반되는데 괴사 된 조직은 항생제를 투여하여도 호전되지 않으므로 괴사조직 절제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방법
여름철에 해변에 갈 때 피부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며 상처가 났을 때에는 재빨리 깨끗한 물로 상처 부위를 씻고 소독합니다. 해산물, 특히 어패류를 반드시 익혀 먹고 간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비브리오 패혈증이 발생하는 여름과 가을에 어패류와 생선을 날것으로 먹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식이요법/생활가이드
어패류를 56도 이상의 열로 가열하여 충분히 조리한 후 섭취해야 하며, 특히 간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여름에 날 해산물을 먹지 않아야 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 발생 시에 격리, 환경 소독, 검역 등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비브리오균
Vibrio species

비브리오균(국문) Vibrio species(영문)

비브리오균은 그람음성균(Gram-negative bacteria)으로 형태학적으로 볼 때 살짝 굽어 있거나 콤마(,) 형태의 짧은 막대 모양을 띄고 있으며, 대부분 편모(flagella)를 통해 운동성을 지닌다. 비브리오균에 속하는 세균들에는 비브리오 콜레라균(Vibrio cholerae), 패혈증 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 장염 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 등을 포함하는 수인성 병원균이 있으며, 이 외에도 비브리오 펴셔리(Vibrio fischeri)나 델 로비 브리오(Bdellovibrio) 등과 같이 다른 생명체에 공생/기생하는 세균도 존재한다.

비브리오균의 특성
비브리오균은 그람 음성 세균으로 보통 운동성을 지닌 굽은 형태 간균이다. 중온에서 살아가는 중온균(mesophilic)이며, 화학 유기영양 생물(chemoorganotroph)로, 조건 발효 대사(facultatively fermentative metabolism)를 한다. 포자(spore)를 형성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산화효소 양성 (oxidase positive)이다 1). 16S 리보좀 RNA 서열 분석을 하면 감마 프로테오 박테리아 (Gammaproteobacteria)에 속함을 알 수 있다.

많은 경우 진핵 생물체에 붙거나 공생하며 해양 환경에서 살아가고, 이 때문에 이 균들은 대부분 해양 배지에서 잘 성장한다. 또 TCBS (thiosulfate-citrate-bile salt-sucrose) 선별 한천 배지에서 집락(colony)을 형성하는 특성도 있다. 비브리오에 속하는 몇몇 세균은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이며, 주로 수산물을 날 것으로 생식하거나 혹은 덜 조리된 수산물을 섭취하였을 때 장관을 통해 감염된다. 또한 피부에 있는 상처가 비브리오균에 오염된 해수에 직접 노출되었을 때 상처를 통해 감염되는 경우도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