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경제 금융 자동차 뉴스 전문 블로그

지식/건강

스타다큐마이웨이 근육긴장이상증 이봉주 1년째 투병생활

리베로수 2021. 3. 17. 00:10
반응형

스타 다큐 마이웨이 근육 긴장 이상증 이봉주 1년째 투병생활

우리나라 마라톤 영웅 이봉주가 난치병 근육 긴장 이상증으로 투병 중인 근황을 전했다.

 

TV조선 스타다큐 마이웨이에서는 이봉주가 출연해 근육 긴장 이상증으로 1년째 투병 생활 중이라고 밝혔다.

 

과거에 트랙을 누비던 마라톤 영웅인 이봉주는 허리와 목이 굽어 고통스러운 재활치료를 받는 모습을 보여줘 안타까움을 샀다.

 

이봉주는 방송을 통하여 예전부터 허리가 약간 구부정했다며 아들 생일날 어깨에 메는 교정기까지 사주면서 신경을 쓰라고 했었고, 그때부터 신경을 썼어야 하는데 제가 제 몸에 대해 너무 자만했던 것 같다고 말하였다.

 

이봉주는 1991년 전국체전 마라톤 종목에서 우승하고, 1993년 전국체전에서는 2시간 10분 27초로 체전 신기록 우승 및 체전 MVP까지 거머쥐며 뛰어난 실력을 선보였다.

 

이후에 국가대표가 되어 1996년 제26회 애틀랜타 올림픽 마라톤 은메달,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마라톤 금메달, 2001년 제105회 보스턴 마라톤 우승 등 여러 대회에서 상을 휩쓸며 대한민국 대표 마라토너로 자리 잡았다.

 

2009년 대전 전국체전 마라톤에서 우승한 뒤 만 39세의 나이로 은퇴하였고 이후 방송과 자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해왔다.

 

1년 넘도록이유도 모른 채 극심한 허리 경련과 통증에 시달리는 이봉주는 유명한 병원이라는 곳은 모두 찾아다니며 꾸준한 치료와 매일 재활 훈련을 받고 있다고. 그는 전국의 유명한 병원 찾아다녔지만 정확한 원인을 어느 누구도 내놓지 못하니까. 이 몸으로 평생 가야 되면 어떡하나 그런 생각도 했고 때때로 좌절할 때도 많았었다고 힘들었던 시간을 떠올렸다.

 

아내 김미순 씨도 왜 하필이면 이런 난치병에 걸렸지? 도대체 무엇이 문제지? 라고 하면서 많이 힘들어하면서 지난 맘고생을 털어놓는다.

 

이봉주가 앓고 있는 근육긴장이상증은 뇌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으면 충분히 치료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일반적인 치료제로는 항콜린제를 사용하고 최근 치료에서는 특별히 보톡스를 국소적으로 투여해 증상을 완화시킨다.

말 그대로 비정상적인 근육의 움직임이 생기는 것으로 보통은 목에 많이 나타난다.

 

근육이 마음대로 꼬이는 증상을 보이며 신체의 다양한 곳에서 발생한다.

 

갑작스럽게 목이 뒤틀리면서 돌아가거나 기울어지고 턱도 의지와 다르게 돌아가는 등 통증을 동반한 근육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

근육 긴장 이상증

 

운동 양상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불수의적으로 근육이 수축하여 비정상적인 운동과 자세를 초래한다.

 

분류

 

① 원인에 의한 분류

 

원발성(idiopathic): 근긴장 이상증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알려진 원인이 없는 경우


이차성(secondary): 다른 알려진 질병 등과 같은 이차적 요인, 즉 뇌졸중, 감염 등의 신경학적 질환이나 Neuroleptics 등의 약물, 또는 뇌손상 등으로 인해 근긴장 이상증이 동반되는 경우

 

② 침범 부위에 따른 분류

 

국소성(focal): 목이나 눈 주위처럼 신체의 어느 한 부위에 국한되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체절 성(segmental): 팔, 다리처럼 몇 개의 서로 연관된 근육군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다소성(multifocal): 해부학적으로 연관이 없는 2곳 이상의 근육에 동시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반신성(hemidystonia): 반신, 즉 몸의 같은 쪽 팔다리 근육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전신성(generalized): 전신의 여러 근육에 동시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국소성 근긴장 이상증

 

사경(spasmodic torticollis or cervical dystonia): 사경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성 근긴장 이상증으로서 목 근육의 경련으로 인해 머리가 한쪽으로 돌아가거나, 앞뒤로 혹은 어깨 쪽으로 기울어져 머리를 바로 유지할 수 없는 증상을 보인다.

 

서경(또는 직업성 디스토니아; Writer’s cramp or occupational dystonia): 글씨를 쓰거나, 악기를 연주하거나, 타이프를 치는 손의 움직임에 의해 근긴장 이상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안검경련(blepharospasm): 눈 주위 근육의 경련성 수축으로 인해 불수의적으로 눈이 자꾸 감기는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중년기를 넘긴 여성에서 많이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경련성 발성장애(spasmodic dysphonia): 성대근육의 수축으로 말을 할 때 숨이 막혀 말을 잇지 못하게 되거나 마치 목이 조이는 것처럼 말을 하는 증상을 보인다.

 

진단

 

증상에 관한 문진, 이학적 검사, 환자의 증상 등을 직접 관찰한다.

 

치료

 

항콜린성 약제, 근이완제, 도파민 작용 약물, 보톡스(botox) 주사 등이 쓰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