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경제 금융 자동차 뉴스 전문 블로그

지식/소식

곰표 밀맥주 대박 맥주의 정의 역사 제조 외국의 맥주생산

리베로수 2021. 5. 12. 20:09
반응형

곰표 밀맥주 대박곰표 밀맥주 대박 맥주의 역사곰표 밀맥주 대박 맥주의 정의 역사 제조 외국의 맥주생산

 

편의점 CU가 무섭게 팔려나가는 곰표 밀맥주 덕분에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CU에서 판매하고 있는 곰표 밀맥주는 대량 공급 2주 만에 월 최대 생산량 300만개 완판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점포 내 남아 있는 물량들까지 소진될 것으로 보인다.

 

CU는 지난 11일 이미 점포에 곰표 밀맥주의 발주 중단을 안내했다. 롯데칠성음료 위탁생산을 통해 물량을 지난해보다 15배나 늘렸지만 생산량이 판매량을 못 쫓아가고 있다.

 

이로써 곰표 밀맥주는 이번주가 지나면 당분간 품절 상황에 놓일 전망이다. 판매 재개는 이달 말로 예상된다. 공장에서 추가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발효 과정 등 불가피한 시간이 소요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CU 내 곰표 밀맥주 하루 평균 판매량은 17만개, 최고 판매량은 26만개에 육박한다. 2주 간 판매량 300만개는 지난해 월 평균 판매량 20만개보다 무려 30배 많은 수치다.

 

곰표 밀맥주는 지난달 29일 증산을 통해 대규모 공급된 지 이틀 만에 기존 카스와 테라 등 스테디셀러들을 꺾고 맥주 전체 매출 1위에 등극했다. 지난 30여 년 동안 편의점 맥주 시장에서 단독 판매하는 자체 제작 상품이 대형 제조사 제품들을 누르고 1위에 오른 건 처음 있는 일이다.

 

곰표 밀맥주의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이달 1~10일 CU 수제맥주의 매출은 전년 대비 625.8% 급증했다. 국산맥주에서 수제맥주가 차지하는 비중도 35.5%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의 이승택 MD는 “곰표 밀맥주의 공급량을 늘렸지만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판매량으로 여전히 점포에서는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며 “제조사와 긴밀한 공조를 통해 이달 말 판매를 재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맥주의 정의

 

싹 틔운 곡류(주로 보리)로 즙을 만든 뒤 홉을 첨가하고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음료.

 

프랑스와 벨기에 법규에선 꽤 많은 함량의 옥수수와 쌀의 첨가를 허가하는 반면 ‘맥주 순수령(Reinheitsgebot, 호프, 보리(맥아), 물, 효모 외에 다른 성분이 포함되면 ‘맥주’란 명칭을 쓸 수 없다)’에 따라 매우 엄격한 관리를 하고 있는 독일은 이를 금지하고 있다.

 

맥주의 역사

 

맥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대중적이며 가장 오래된 알코올음료로 알려져 있다. 이미 기원전 8000년경 곡식으로 발효 술을 만든 최초의 흔적들이 에리코(현, 요르단)에서 발견된 바 있다.

 

갈리아족, 켈트족, 색슨족도 곡식으로 빚은 세르부아즈(cervoise)라는 맥주를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아직 홉을 첨가하지 않았다. 홉이 맥주 제조에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13세기에 바바리아인 수도사들에 의해서다.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인들은 고대에 맥주를 가장 많이 마신 소비자들이었다. 그들은 맥주를 따뜻하게 마셨다. 이 맥주는 잘게 뜯어 물에 담근 보리빵을 커민, 도금양, 생강, 꿀로 향을 낸 대추야자 즙 안에 넣어 발효시킨 것이었다.

 

맥주가 유럽(주로 북부와 동부 유럽에 해당한다. 프랑스를 포함한 남부 유럽에서는 와인을 만들었다)에서 오래 전에 만들어지고 또 이것이 전 세계에 퍼져나가게 된 것은 순수한 물, 질 좋은 보리(모라바와 알자스산 보리는 최고의 품질이었다), 섬세한 향기와 맛의 홉 등 원재료와 깊은 연관이 있다.

 

맥주의 제조

 

보리는 전분이 풍부한 곡식이다. 하지만 효모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자연적으로 발효되지 않는다(직접 발효되어 시드르나 포도주를 만드는 사과나 포도에 함유된 당과는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단계의 처리과정을 거쳐 보리로부터, 발효해 술을 만들어낼 수 있는 즙(moût)을 얻어내야 한다.

 

맥아로 만들기(Maltage)


보리 낟알을 물에 담가 수분을 흡수시킨 다음 발아시킨다. 싹을 틔운 보리를 건조시킨 다음 가열하고 분쇄한다.

 양조(Brassage)


이렇게 얻은 맥아는 곱게 빻는 과정을 거친 뒤 뜨거운 물에 담근다. 맥아효소의 작용으로 전분은 당으로 변하여 침출된다. 이 담금 공정이 끝나면 여과기에 거르고, 쌉싸름한 맛과 향을 더하는 홉을 첨가한 뒤 끓여준다. 식힌 뒤 효모를 첨가한다.

 

맥주의 발효 방식에 따라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


- 하면발효(fermentation basse, 라거 발효): 7 ~ 8℃에서 7일간 발효. 대부분의 맥주(필스 또는 라거)가 이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상큼하고 부드러운 맛과 맥아와 홉의 향이 특징이다.


- 상면발효(fermentation haute, 에일 발효): 14 ~ 25℃에서 3일간 발효. 풍부한 과일 맛이 나며 복합적인 향을 지닌 맥주를 만든다. 트라피스트 맥주나 벨기에의 수도원맥주, 프랑스 북부 지방의 비에르 드 가르드(bière de garde, 알코올 도수가 높은 저장맥주), 영국의 에일(ale), 스타우트(stout), 독일의 바이젠비어(Weizenbier), 바이스비어(Weissbier), 알트비어(Altbier)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자연발효(fermentation spontanée): 몇 주, 혹은 몇 개월간 오크통 발효. 옛날에 사용하던 이 방법(효모를 첨가하지 않음)은 아직도 벨기에 브뤼셀 지역에서 램빅(lambic)이나 괴즈(gueuze)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프랑스 법령은 이들을 ‘유산발효 맥주’란 이름으로 분류한다.

 

발효가 끝난 어린 맥주(bière verte 라고도 한다)는 약 2 ~ 3주에서 몇 개월 동안 숙성한 후 여과하여 포장되며(병입, 캔 또는 오크통 등), 대개의 경우 저온멸균을 거친다.

 

색깔과 알코올 도수

 

제조 기간과는 상관없는 맥주의 색깔은 가열과정과 관련이 있다.

가열하면서 생성되는 캐러멜이 맥주를 갈색으로 만들며 특유의 맛을 내준다. 비교적 연한 황금빛 맥주는 쓴 맛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맥주의 플라토 도수(degré Plato)는 맥아즙이 발효되기 전 용액의 당 추출물 함량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 최종적인 알코올 도수는 이 수치의 1/3 혹은 1/4에 지나지 않는다. 일반 데일리 맥주의 경우 약 2 ~ 3% Vol., 고급 맥주의 경우 4 ~ 5% Vol., 그리고 특수 맥주의 경우 5 ~ 7% Vol. 정도이다.

 

맥주에는 발효되지 않는 당(칼로리가 낮은 라이트 맥주에서는 제거한다)과 질소성 물질, 무기질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으며, 1리터당 500Kcal(또는 2090kJ)의 열량을 낸다.

 

프랑스 맥주와 그 밖의 외국 맥주

 

제조방식과 지역 전통에 따라 다양한 맥주가 생산되고 있다.

- 프랑스에서는 하면발효한 황금색 맥주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알자스 로렌(Mützig, Kronenbourg, Kanterbraü, Heineken), 북부 노르지방(33 Export, Pelforth)에서 대량생산된다. 튀지 않는 무난한 맛을 지닌 이 맥주들은 시원한 청량감이 특징이다. 스페셜 맥주(1664, Gold, Old Lager)들은 좀 더 진한 향과 높은 알코올 도수를 자랑한다.

 

이러한 공장 대량생산 맥주 외에 소규모 공방 규모의 양조장들도 자체적으로 맥주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 숫자도 점점 느는 추세다. 이들은 훨씬 개성이 강하고 독특한 맥주를 만들어낸다. 프랑스 북부의 저장맥주인 비에르 드 가르드(Jenlain, Ch’ti, Trois Monts, Épi de Facon 등)와 알자스 특선 맥주들((Schützenberger, Adelshoffen, Météor 등)이 대표적이다.

 

- 벨기에의 맥주는 그 종류가 더 다양하다. 고전적인 필스(Stella, Jupiter, Maës) 외에 독특한 산미를 가진 람빅과 괴즈(Mort Subite가 유명하다), 그리고 이 맥주에 과일을 섞은 것(kriek, framboise), 대부분 알코올 도수가 높고 향이 아주 진한 테라피스트 맥주(수도사들이 전통 방식으로 제조한 맥주)나 수도원 맥주, 밀과 스파이스로 만든 청량한 맛의 흰색 맥주, 농도가 짙은 상면발효맥주(Duvel, Martin’s, De Koninck), 오크통에서 2년간 숙성한 붉은색 맥주(Rodenbach) 등을 꼽을 수 있다.

 

- 영국에서는 주로 펍에서 전통 에일 맥주(Bass, Burton, Newcastle, Fuller’s, Youngs)를 접할 수 있다. 오크통에서 숙성된 이 맥주들은 다양한 향을 갖고 있다. 그 외에도 병입 포장으로 오래 저장할 수 있는(Thomas Hardy‘s Ale과 같은 맥주는 몇 년간 보관이 가능하다) 스타우트(stout), 포터(porter)와 같은 흑맥주도 있다. 아일랜드는 기네스(Guinness)와 머피스(Murphy’s)로 완전히 검은색의 스타우트 맥주를 대중화시켰다. 이 맥주들은 쓴맛이 강하나 알코올 도수는 중간 정도다.

- 독일에는 수백 개가 넘는 맥주 제조공장에서 생산되는 쓴 맛의 황금색 맥주들 이외에도 독특한 개성을 가진 맥주들이 많다. 부드럽고 달콤한 맛이 있는 바이에른의 뮌헨 맥주, 쾰른, 뒤셀도르프 등지의 상면발효 맥주 알트비어, 바이에른과 베를린의 밀맥주 바이젠비어, 밤베르크의 훈연맥주 등을 꼽을 수 있다.

 

- 스위스에서는 독일 스타일 맥주를 가장 많이 접할 수 있으며, 옛날식 무알코올 맥주와 세계에서 가장 알코올 도수가 높은 맥주(Samichlaus, 14% Vol.)가 공존한다. 이 맥주는 일 년에 한 번, 성 니콜라스 축일을 위해 양조한다.

 

- 체코는 좋은 품질의 보리와 홉, 양조용 물의 독특한 화학성분 덕에 가장 정통적인 필스 맥주(Pilsen Urquell, Staropramen)를 생산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체코의 필스 맥주를 모방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 캐나다에는 미국의 대형 맥주 생산업체(Molson, Labatt) 이외에도 소규모 독립 양조장들이 생겨나고 있다(‘Fin du Monde’ 등의 맥주를 생산하는 퀘벡의 크래프트 브루어리 Unibroue는 가수 Robert Charlibois와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 외의 국가들에서도 하면발효 황금색 맥주가 거의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섬세하고 고급스러운 맛과 쌉싸름함이 돋보이는 덴마크의 맥주(Carlsberg, Tuborg)와 네덜란드 맥주(Amstel), 수준 높은 제조기술로 생산하고 있는 일본 맥주들(Sapporo, Kirin)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향이 강하지 않고 쓴맛이 약한 가벼운 맥주(Budweiser, Miller 등)가 주를 이루고 있는 미국에서도 몇 년 전부터 고급 품질의 아티장 맥주(San Francisco Steam Beer, Samuel Adams, Brooklyn, Chicago Legacy 등)들이 늘어나고 있다.

 

맥주의 사용

 

제조방식과 지역 전통에 따라 다양한 맥주가 생산되고 있다.

 

- 프랑스에서는 하면발효한 황금색 맥주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알자스 로렌(Mützig, Kronenbourg, Kanterbraü, Heineken), 북부 노르지방(33 Export, Pelforth)에서 대량생산된다. 튀지 않는 무난한 맛을 지닌 이 맥주들은 시원한 청량감이 특징이다. 스페셜 맥주(1664, Gold, Old Lager)들은 좀 더 진한 향과 높은 알코올 도수를 자랑한다.

 

이러한 공장 대량생산 맥주 외에 소규모 공방 규모의 양조장들도 자체적으로 맥주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 숫자도 점점 느는 추세다. 이들은 훨씬 개성이 강하고 독특한 맥주를 만들어낸다. 프랑스 북부의 저장맥주인 비에르 드 가르드(Jenlain, Ch’ti, Trois Monts, Épi de Facon 등)와 알자스 특선 맥주들((Schützenberger, Adelshoffen, Météor 등)이 대표적이다.

 

- 벨기에의 맥주는 그 종류가 더 다양하다. 고전적인 필스(Stella, Jupiter, Maës) 외에 독특한 산미를 가진 람빅과 괴즈(Mort Subite가 유명하다), 그리고 이 맥주에 과일을 섞은 것(kriek, framboise), 대부분 알코올 도수가 높고 향이 아주 진한 테라피스트 맥주(수도사들이 전통 방식으로 제조한 맥주)나 수도원 맥주, 밀과 스파이스로 만든 청량한 맛의 흰색 맥주, 농도가 짙은 상면발효맥주(Duvel, Martin’s, De Koninck), 오크통에서 2년간 숙성한 붉은색 맥주(Rodenbach) 등을 꼽을 수 있다.

 

- 영국에서는 주로 펍에서 전통 에일 맥주(Bass, Burton, Newcastle, Fuller’s, Youngs)를 접할 수 있다. 오크통에서 숙성된 이 맥주들은 다양한 향을 갖고 있다. 그 외에도 병입 포장으로 오래 저장할 수 있는(Thomas Hardy‘s Ale과 같은 맥주는 몇 년간 보관이 가능하다) 스타우트(stout), 포터(porter)와 같은 흑맥주도 있다. 아일랜드는 기네스(Guinness)와 머피스(Murphy’s)로 완전히 검은색의 스타우트 맥주를 대중화시켰다. 이 맥주들은 쓴맛이 강하나 알코올 도수는 중간 정도다.

 

- 독일에는 수백 개가 넘는 맥주 제조공장에서 생산되는 쓴 맛의 황금색 맥주들 이외에도 독특한 개성을 가진 맥주들이 많다. 부드럽고 달콤한 맛이 있는 바이에른의 뮌헨 맥주, 쾰른, 뒤셀도르프 등지의 상면발효 맥주 알트비어, 바이에른과 베를린의 밀맥주 바이젠비어, 밤베르크의 훈연맥주 등을 꼽을 수 있다.

 

- 스위스에서는 독일 스타일 맥주를 가장 많이 접할 수 있으며, 옛날식 무알코올 맥주와 세계에서 가장 알코올 도수가 높은 맥주(Samichlaus, 14% Vol.)가 공존한다. 이 맥주는 일 년에 한 번, 성 니콜라스 축일을 위해 양조한다.

 

- 체코는 좋은 품질의 보리와 홉, 양조용 물의 독특한 화학성분 덕에 가장 정통적인 필스 맥주(Pilsen Urquell, Staropramen)를 생산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체코의 필스 맥주를 모방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 캐나다에는 미국의 대형 맥주 생산업체(Molson, Labatt) 이외에도 소규모 독립 양조장들이 생겨나고 있다(‘Fin du Monde’ 등의 맥주를 생산하는 퀘벡의 크래프트 브루어리 Unibroue는 가수 Robert Charlibois와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 외의 국가들에서도 하면발효 황금색 맥주가 거의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섬세하고 고급스러운 맛과 쌉싸름함이 돋보이는 덴마크의 맥주(Carlsberg, Tuborg)와 네덜란드 맥주(Amstel), 수준 높은 제조기술로 생산하고 있는 일본 맥주들(Sapporo, Kirin)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향이 강하지 않고 쓴맛이 약한 가벼운 맥주(Budweiser, Miller 등)가 주를 이루고 있는 미국에서도 몇 년 전부터 고급 품질의 아티장 맥주(San Francisco Steam Beer, Samuel Adams, Brooklyn, Chicago Legacy 등)들이 늘어나고 있다.

 

맥주의 시음

 

맥주의 특징을 결정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다. 타닌과 홉이 주는 쌉싸름한 맛(너무 쓴 정도가 되면 절대 안 된다), 맥주가 잘 만들어지고 제대로 여과되었음을 보여주는 투명도와 광도, 그리고 맥주를 따랐을 때 헤드부분에 생기는 거품(독일에서는 이를 꽃이라고 부른다)인데, 이것이 안정적이며 모양을 유지해야 한다. 그 밖에도 바디감, 기포성, 그리고 물론 맛 등이 주요 기준이 된다.

 

맥주용 잔으로는 다리가 달린 둥근 글라스나 긴 원통형 유리잔이 적합하다. 거품이 많은 맥주는 튤립 모양 잔이나 좁고 갸름한 플뤼트 잔이 어울린다. 손잡이가 달린 도자기 잔은 독일 맥주를 시원하게 마시기 좋다.

 

용량별로는 125ml(bock), 250ml(demi), 500ml(distingué), 1리터(parfait), 2리터(sérieux), 3리터(formidable)로 나뉜다. 손잡이가 달린 맥주잔은 보통 330ml가 기본사이즈다. 맥주를 잔에 따를 때는 먼저 바닥에 직접 조금 부어 거품을 일으킨 다음 잔을 기울여 안쪽 면을 따라 부어 너무 많은 거품이 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잔을 똑바로 세워 헤드 부분에 거품을 채운다.

 

반응형